오늘의 뉴스클리핑과 AI 트렌드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뉴스클리핑

#경제

관세 부메랑 현실로…중국 쉬인, 미국서 가격 최고 377% 인상

저가 상품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해온 중국의 대형 온라인 유통업체 쉬인이 미국 정부의 ‘소액 면세 제도'(de minimis) 폐지를 앞두고 상품 가격을 대폭 올렸다. 키친타월의 경우 하루 만에 377% 폭등한 것을 비롯해 주요 항목별 가격 인상률이 30~50%에 달한다.

블룸버그통신은 쉬인이 의류에서 주방용품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상품 가격 대부분을 지난 주말을 전후해 크게 인상했다면서 글로벌 무역전쟁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초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원) 이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제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원문 보기


#패션

日 사로잡은 K패션…마뗑킴 시부야점, 오픈 나흘만 매출 3억원 넘겨

무신사는 마뗑킴 시부야점 공식 오픈 날인 24일 하루 동안 일 매출 800만 엔(한화 8000만 원)을 돌파하며 목표치를 2배 이상 초과 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날까지의 누적 매출은 약 3200만 엔(한화 3억 2000만 원)을 기록했다.

특히 20~30대 여성들의 높은 관심에 힘입어 이달 말까지 1주일간 기대했던 예상 매출을 이틀 만에 조기 달성했다. 이번 성과는 마뗑킴이 온라인과 팝업 스토어를 넘어 일본 오프라인 패션 시장에도 안정적으로 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해외 럭셔리 명품 브랜드와 일본 대표 패션 업체들이 밀집한 도쿄 시부야의 핵심 상권에서 현지 고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으며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한 덕분이다.

👉 원문 보기



AI

#플랫폼

딥시크, 韓 재상륙 ‘초읽기’…개인정보 처리방침 한국어판 마련

–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는 28일 오전 개인정보 처리방침 한국어판을 공개하고 개인정보 정책을 일부 개정했다.

– 지난 23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가 중국·미국 소재 5개 기업으로 국내 이용자 개인정보를 이전함에도 이를 안내하지 않았으며 한국어로 된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제공하지 않았다며 시정·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 당시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측이 개인정보위 시정·개선 권고를 이행해 서비스를 재개할 의지를 보였다고 전했다. 딥시크가 개인정보위의 시정권고를 10일 이내에 수락하면 시정명령을 받은 것으로 간주되는데 딥시크는 닷새 만에 개인정보 처리방침 한국어판을 만들었다.

👉 관련 기사 보기


#기술

오픈AI ‘챗GPT’ 성능 좋아졌다는데… ‘거짓 정보 제공’ 환각 현상은 왜 더 심해질까

–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코딩에 특화된 추론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 ‘o3’와 ‘o4 미니’가 이전 모델보다 성능이 좋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환각 현상이 심해진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되고 있다.

– o3는 오픈AI의 자체 벤치마크 테스트인 퍼슨 QA에서 33%의 환각 반응률을 보였다. 전작 o1의 16%와 비교해 환각 반응률이 2배 정도 높아졌다. ‘o4 미니’의 환각률은 48%에 육박했다.

– 환각 현상을 최소화할 해결책 중 하나로는 웹 검색 기능 도입이 거론된다. AI 모델이 신뢰할 만한 출처의 자료를 찾아 답변을 내놓으면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오픈AI가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를 매각할 경우 인수할 의향이 있다고 한 것도 AI 모델 성능 개선과 환각 문제 해결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 관련 기사 보기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