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클리핑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플랫폼

관세전쟁에 틱톡 협상 불발…트럼프, 매각 기한 또 연장

5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중국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 협상이 전날 최종 합의를 앞두고 중국 정부 반발로 중단됐다. 애초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들이 확보하는 협상안이 마련됐지만,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반발한 중국 측에서 반대하고 나서면서 상황이 바뀐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하자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 측은 지난 3일 오전 미·중 간 관세 협상이 열릴 때까지 협상을 중단한다고 백악관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결렬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이른바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추가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원문 보기


#경제

“사립대 등록금 인상” 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폭 상승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는 1년 전과 비교해 2.9% 상승했다.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오름세다. 이는 사립대를 중심으로 대학교 등록금이 오른 여파가 국공립대·전문대로 퍼졌고 유치원비도 9년여 만에 가장 크게 뛴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대납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랐다.

👉 원문 보기



#경제

韓 성장률 세계 29위…”1분기 역성장” 전망도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0.1%로 세계 주요국들 가운데 하위권에 머물렀다. 올해 1분기도 뚜렷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6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 중국을 더해 작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전체 37개국 중 29위로 집계됐다.

한은은 지난달 5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치)’ 발표 당시 4분기 성장률을 0.1%로 공개했지만 반올림 전 실제 수치는 0.06%대로, 역성장을 겨우 피한 수준이었다. 소비·건설투자 등이 살아나지 못하는 상태에서 12월 계엄과 탄핵 정국까지 이어지자 내수는 더 위축됐고, 결국 4분기 역시 0%대 성장률과 30위 안팎 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원문 보기



#AI

메타, 연산 비용 낮추고 성능 높인 ‘라마4’ 공개…”동급 AI 중 최고”

메타가 1년 만에 자사의 인공지능(AI) 거대언어모델(LLM) 시리즈 신작인 ‘라마4(LLaMA4)’를 공개했다. 최근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인해 AI의 비용 절감 문제가 화두로 떠오른 만큼 전문가 혼합(MoE) 구조를 적용해 연산 효율을 크게 높였다.

메타는 5일(현지 시간) 자사 공식 블로그를 통해 라마4 라인업 중 ‘스카우트(Scout)’와 ‘매버릭(Maverick)’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메타에 따르면 라마4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을 동시에 이해하는 ‘멀티모달 AI’다. 기존에 존재하던 LLM보다 연산 효율을 크게 높였다. 메타는 스카우트와 매버릭이 기존의 자사 AI 모델 중 가장 많이 개선됐고, 동급의 AI와 비교해도 멀티모달 기능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자신했다.

👉 원문 보기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