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클리핑과 매체/퍼포먼스 트렌드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뉴스클리핑

#IT

카카오, 포털 ‘다음’ 인수 11년 만에 분사한다

카카오가 포털 ‘다음'(Daum)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23년 5월 다음 사업 부문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한 지 약 2년 만이다. 1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콘텐츠CIC의 재도약을 위해 다음의 분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분사를 통해 다음은 카카오 그룹 내에서 완전히 독립된 법인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앞서 카카오는 2023년 5월,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서 다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 사업 부문을 CIC로 분리한 바 있다. 이후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다음CIC를 콘텐츠CIC로 변경하고 숏폼(Short-form) 영상과 뉴스 등 콘텐츠 서비스 강화를 추진해왔다. 이번 분사 결정은 카카오의 비핵심 사업 정리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원문 보기


#F&B

한국 소주 ‘초대박’…미국·중국·일본서 난리 난 비결

한국의 소주류 수출이 연간 2억 달러를 처음 달성했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과일소주를 포함한 소주류 수출은 전년보다 3.9% 늘어난 2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대치다. 지난 2020년(1억3500만달러) 후 4년 만에 1.5배로 늘어난 것이다. 품목별로는 일반소주 비중이 51.9%로 과일소주 등 혼성주(48.1%)보다 더 많았다.

국가별 수출액 비중을 보면 미국(24.3%), 중국(19.9%), 일본(19.2%) 등 순이었다. 특히 일본은 과일소주, 중국은 일반소주가 주로 인기를 끈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 순한 술이 유행하면서 한국의 질 좋은 소주가 인기를 끌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대중문화와 음식이 사랑을 받으면서 소주 등 음주 문화에도 관심이 커진 영향도 큰 것으로 파악된다.

👉 원문 보기



매체/퍼포먼스

#콘텐츠

릴스는 어떻게 돈이 되는가.. 3가지 유형

– 인스타그램이 기존 정사각형 피드를 직사각형으로 변경했다. 이러한 변화와 메타 실적 발표회의 연설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릴스가 인스타그램 기반 수익화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 릴스 출시 초기에는 영향력이 크지 않았지만 점차 입지를 확대했다. 메타는 릴스 오리지널 콘텐츠를 우선 노출하고, 편집 앱 출시와 새로운 공유 기능을 선보이는 등 릴스 확산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메타는 퍼스널·브랜드·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이 릴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앞으로 릴스를 통한 광고 수익 배분과 커머스 연계 강화로 플랫폼 내 수익화 생태계가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 기사 보기


#플랫폼

싸이월드, 결국 새 주인 찾는다…연내 서비스 사실상 불가능

– 올해 하반기 서비스 예정이었던 추억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싸이월드’가 다시 새 주인을 찾아 나선다.

– 11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소니드는 ‘싸이커뮤니케이션즈(싸이컴즈)’ 지분 40%와 관련 사업권을 매각하기 위해 몇 기업들과 물밑 접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싸이월드 복원 작업에 필요한 자금이 원활하게 조달되지 않아 결국 매각 작업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 앞서 싸이컴즈는 지난해 기존 싸이월드 소유 법인 싸이월드제트로부터 싸이월드 사업권과 자산을 인수하고 올해 중으로 서비스를 재개하겠다고 예고했다. 다만 비용 문제 때문에 지난 1월부터 사업을 일시 중단했다.

👉 관련 기사 보기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