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클리핑과 매체/퍼포먼스 트렌드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뉴스클리핑

#AI

저비용 ‘딥시크’의 역습… 美中 AI 전쟁 불붙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등을 놓고 양국 간 대립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두 나라가 치열한 패권 전쟁에 돌입했다.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미국 오픈AI의 대표 모델인 ‘챗GPT’와 맞먹는 AI 모델을 오픈AI가 투자했던 비용의 약 5.6%만 들여 개발하면서 글로벌 기술업계 및 투자 시장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앞서 딥시크는 엔비디아가 2022년 개발해 상대적으로 구형인 ‘H800’ 반도체만으로 만든 자사의 AI 모델 ‘R1’이 챗GPT의 신형 모델 ‘o1’과 성능이 비슷하거나 그보다 더 뛰어나다고 밝혔다. 또 R1을 558만 달러(약 78억1200만 원)에 개발했다고 공개했다.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 본사를 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는 전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신생 회사였다.

👉 원문 보기


#콘텐츠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시즌3′ 6월 27일에 공개한다

넷플릭스는 ‘오징어 게임’ 시즌3을 오는 6월 27일 출시한다고 30일(현지 시각) 밝혔다. 이는 지난해 12월 오징어게임 시즌2를 출시한 지 6개월 만이다. 앞서 넷플릭스는 지난 2021년 9월 오징어게임 시즌1을 출시했는데, 시즌2까지는 3년 3개월이 걸렸다. 시즌3는 7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시즌2와 연속으로 촬영됐다.

넷플릭스는 시즌3가 “마지막 시즌”이라고 소개하며 포스트와 스틸 사진을 공개했다. 이어 “공개된 이미지는 오징어 게임 영웅 기훈(이정재)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그리고 무서운 경쟁에 휘말린 더 많은 캐릭터의 다음 행보를 암시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넷플릭스는 지난 21일 분기 실적 발표에서 시즌2에 대해 “가장 많이 시청된 오리지널 시리즈 시즌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작년 4분기 시청 횟수(view)가 1억6570만이었다고 전했다.

👉 원문 보기



매체/퍼포먼스

#플랫폼

하이브 이어 카카오도 참전…엔터 격전장 ‘팬덤 플랫폼’

– K팝 스타와 팬들 간의 소통을 위해 개발된 팬덤 플랫폼이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새 격전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1위 엔터 기업 하이브의 팬덤 플랫폼 ‘위버스’의 월간활성사용자(MAU)가 1000만 명에 육박하는 가운데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참전을 선언했다.

– 카카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팬덤 플랫폼인 ‘베리즈’를 이르면 올 상반기 내놓기로 했다. 카카오엔터는 베리즈를 방송, 굿즈 판매 등을 결합한 e커머스 겸용 플랫폼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 엔터테인먼트업계가 앞다퉈 팬덤 플랫폼을 키우려는 데엔 기존 사업만으로는 더 이상 안정적 성장이 힘들 것이란 위기감이 깔려 있다. 지난해 K팝 실물 음반 판매량은 9890만 장으로 전년(1억2020만 장)보다 18% 줄었다.

👉 관련 기사 보기


#SNS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361억원 주고 트럼프와 소송 합의

–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2천500만 달러(361억원)를 주고 소송을 해결하기로 합의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트럼프 대통령은 2021년 1월 6일 의사당 폭동 사태 이후 페이스북 등으로부터 자신의 계정을 중단당하자, 그해 7월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이 소송은 트럼프가 2021년 제기한 이후 큰 진전은 없었지만, 지난해 11월 미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 한때 트럼프와 불편한 관계였던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미 대선 이후 트럼프와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선 직후 트럼프 대통령 사저가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를 직접 방문해 만찬을 하는가 하면, 트럼프 측 인사를 회사 내에 전진 배치하고 취임식에도 100만 달러를 기부했다.

👉 관련 기사 보기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