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영, 다이소, 뷰티컬리 비교 분석! 타겟, 제품, 마케팅 전략까지 모두 다른 뷰티 시장 파헤치기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출처 (1) 올리브영 (2) 다이소몰 (3) 뷰티컬리

이 3대장은 한 가지의 공통 전략을 공유하고 있는데요. 바로 유통망을 활용한 ‘빠른 배송 전략’입니다. 올리브영과 다이소는 전국에 분포된 지점을 통해, 뷰티컬리는 기존 마켓컬리의 허브를 통해 소비자에게 하루 이내로 빠르게 제품을 배송하고 있죠.

하지만 이들은 각 플랫폼의 특징에 맞는 특색있는 마케팅 또한 선보이고 있습니다. 뷰티 시장 내 파이를 넓히기 위해 피 튀기는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뷰티 3대장(올리브영, 다이소, 뷰티컬리)이 각각 어떤 마케팅을 내세우고 있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 여전한 뷰티 1등 시장, 올리브영

출처 CJ올리브영

올리브영은 사실상 오프라인 시장 파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의 메인 타겟 2030 여성과 뷰티 브랜드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용성 휴리스틱을 관찰할 수 있는데요. 휴리스틱은 ‘생각의 지름길’을 의미하고, 그 중 가용성 휴리스틱은 머릿속에서 잘 떠오르는 대상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을 설명하는 단어입니다. 사람은 어떤 키워드를 떠올릴 때 반복 노출되거나 과거에 학습해서 찾기 쉬운 키워드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요. 마치 ‘화장품 가게’ 하면 ‘올리브영’인 것처럼요. ‘아 요즘 화장품 뭐 사지?’ → ‘올리브영 가 볼까?’ 이런 예시처럼 사람들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되는 거죠!

압도적인 영향력을 이용한 단독 런칭 전략 [선런칭, 독점 컬러, 단독 기획 혜택]

출처 올리브영 (1) 선런칭 (2) 단독 기획 검색 결과

올리브영은 제품을 먼저 런칭하는 ‘선런칭 전략’, 같은 제품이지만 올리브영에서만 한정 컬러/기획 제품을 내놓는 ‘단독 전략’ 등 독점적인 위치를 이용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어요. 소비자가 특정 제품을 접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을 한정시킴으로써 올리브영을 찾을 수밖에 없게 했습니다.

많은 지점수를 활용해, 소비자가 ‘체험’하게 하다!

출처 CJ올리브영 타운 매장

올리브영 타운 매장을 이용한 고객 경험 마케팅도 눈에 띄는 마케팅 포인트라고 할 수 있어요. 올리브영 타운 매장은 상품과 큐레이션, 새로운 경험을 강조한 매장입니다. 올리브영의 푸드 제품부터 위스키나 와인 같은 주류 제품까지 한눈에 둘러볼 수 있는 ‘푸드앤드링크’ 존부터 전문 MD가 추천하는 럭셔리 제품들이 모여있는 ‘럭스 에디트(Luxe Edit)존’ , 인기 프리미엄 브랜드 향수를 시향할 수 있는 ‘프래그런스 바’, 현재 주목받고 있는 브랜드를 소개하는 ’트렌딩 나우존‘ 등 각 타운 매장마다 서로 다른 볼거리가 갖춰져 있는데요.

단순히 화장품을 체험하고 구매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고객 경험의 모든 부분을 퀄리티 있게 설계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올리브영 브랜드 전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남기고 있습니다.

❤️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가격으로 승부한다, 다이소

출처 daiso

유통 채널을 이용해 품질은 유지하고, 가격은 내리고!

출처 (1) 올리브영 ‘투쿨포스쿨 바이로댕 쉐이딩‘ (2) 다이소몰 ‘태그 듀얼멀티쉐딩

낮은 가격과 함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저용량 제품’과 ‘세컨드 브랜드’

다이소 뷰티 제품의 또 다른 특징은 저렴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브랜드가 기존 제품에 비해 ‘저용량 제품’을 판매하거나, ‘세컨드 브랜드’를 런칭하는 것인데요. 이는 기존 브랜드의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소비자로부터 하여금 제품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전략입니다.

출처 (1) 다이소몰 ‘VT 리들샷‘ (2) 유튜브 쿼튜브 (3) 유튜브 화장품은 과학이다 by 안언니
출처 인스타그램 @daisolife (1) 태그 (2) 본셉 (3) 미모

💜 고품질로 승부하는 뷰티컬리

기존 주 타켓층인 30대 여성을 노린 럭셔리 마케팅 [컬리 럭셔리 페스타]

출처 인스타그램 @beautykurly
출처 (1) NAVER 블로그 컬리 (2) 인스타그램 @beautykurly

최근 뷰티컬리가 DDP에서 개최했던 컬리 뷰티 페스타 또한 ‘럭셔리 마케팅’의 일환인데요. 컬리 뷰티 페스타는 뷰티컬리가 제품력과 기술을 보증하는, 품질이 높은 브랜드로만 구성된 팝업 스토어입니다. 방문자에게 꽃 한 송이를 제공하는 ‘플라워바’ 이벤트와 미션을 수행하기만 해도 최대 60만 원 상당의 기프트를 제공하는 등 이색적이고 럭셔리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후발주자의 특권, 공격적인 비교 광고 [최저가 챌린지]

출처 kurly

이 외에도 쿠팡 뷰티, 지그재그, 에이블리, 무신사 뷰티 등 많은 플랫폼이 뷰티 유통 시장에 도전하고 있는데요. 이들은 고객 유치를 위해 매력적인 프로모션으로 경쟁하고 있고, 뷰티 고관여 소비자들은 이미 다양한 플랫폼을 비교하며 많은 혜택을 챙겨가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지속되었던 올리브영 독주 체제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지금, 어떤 플랫폼이 시장 우위를 차지할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같은 제품이라도 각각 다른 구성/가격으로 승부할 수 있는 요즘,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을 구상해 보면 어떨까요?

*외부필진이 기고한 아티클입니다.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