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클리핑
#콘텐츠
트와이스 정연, 스타 애장품 모아 장애 아동 치료비 지원
트와이스 정연이 MC로 활약한 유튜브 예능 ‘감별사’ 시즌2가 장애 아동 돕기 기부로 마무리됐다. 뉴미디어 콘텐츠 기업 더에스엠씨는 29일 ‘감별사’ 시즌2 종료와 함께 조성된 기부금이 서울재활병원에 전달됐다고 밝혔다. ‘감별사’는 스타의 애장품을 받아 시청자와 나누고 MC 정연이 게스트의 소원을 들어주는 포맷으로 인기를 모았다.
‘감별사’는 시즌1에 이어 시즌2까지 시청자 참여형 기부 프로젝트로 운영되며, 스타의 선한 영향력을 예능 콘텐츠로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즌2는 23일 10회차를 끝으로 종영했다. 더에스엠씨는 시즌2 종료 후 ‘감별사’ 스페셜 시리즈를 자체 기획해 유튜브 채널에서 방영 중이다.
👉 원문 보기
#IT
삼성, 테슬라 차세대 AI칩 만든다…머스크 ‘23조원+α’ 시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27일(현지시각) 앞으로 테슬라가 쓸 차세대 반도체칩을 삼성전자가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이날 자신의 엑스(X)에 글을 올려 “삼성의 텍사스 신규 공장은 테슬라의 차세대 에이아이(AI)6 칩 생산에 전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삼성은 현재 AI4를 생산하고 있으며, 티에스엠시(TSMC·대만의 반도체 기업)는 설계가 완료된 AI5를 대만에서 먼저 생산한 후 애리조나에서 생산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테슬라는 인공지능 반도체칩을 전기차뿐 아니라, 테슬라가 만드는 인간형 로봇 ‘옵티머스’에도 사용하고 있다.
👉 원문 보기
유튜브
#콘텐츠트렌드
공포 소재 콘텐츠
– 무더운 여름철마다 시즈널하게 주목받는 ‘공포’ 콘텐츠를 활용하는 채널이 증가
– 특히 ‘무서운 이야기’를 듣는 방식의 콘텐츠 소비가 많아짐에 따라, 시각적 요소를 최소화한 라디오형 포맷이나 ASRM 형식의 롱폼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음
– 대표적인 공포 소재 예능 <심야괴담회>에서는 일상 중 혹은 취침 전 듣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심괴ASMR’이라는 이름으로 1-2시간 분량의 모음집 영상도 제작
– 이처럼 여름 시즌을 활용해 과거 반응이 좋았던 영상들을 모음집 형태로 재업로드하여 콘텐츠 수명 연장 및 조회수 확보 전략도 자주 활용
– 청취 기반 콘텐츠 특성상 일상 중 틀어두거나 자기 전 재생해두는 시청자들의 특성이 있어 라디오처럼 반복 재생되기 좋은 포맷으로 자리 잡는 추세
– 실제로 ‘돌비공포라디오’, ‘디바제시카DeevaJessica’, ‘공포라디오0.4MHz쌈무이’와 같이 전문 공포 채널들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공포 소재를 다루지 않던 채널에서도 여름 한정 콘텐츠로 공포 소재를 다루며 주목받는 사례가 다수 등장
– 특히 시청자의 사연을 바탕으로 구성된 괴담 콘텐츠가 늘어나며, 더욱 시청자 참여형 콘텐츠 포맷으로 진화하는 경향도 관찰됨
👉 [시청자가 실제로 겪은 끔찍한 공포사연 모음] 보러 가기
#콘텐츠트렌드
넷플릭스 예능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 흥행
– 모태솔로들이 출연하는 컨셉으로 화제를 모은 넷플릭스 예능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 관련 영상들이 최근 유튜브에서 높은 조회수를 기록
– 기존 연애 프로그램들과 달리 연애에 능숙하지 않은 출연자들이 서툰 행동이 주요 시청 포인트로 작용했으며, 출연자들이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뚝딱이는 모습을 Shorts 클립으로 편집해 바이럴 콘텐츠로 활용
– 특히 출연진들의 어리숙한 태도는 시청자들에게 더 높은 공감대와 몰입감을 유도하며, ‘나 같아서 못 보겠다’, ‘ 근거 있는 수치심’, ‘그럴 수 있다’와 같은 감정이입 기반의 댓글 반응을 다수 이끌어냄
– 연애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면서 관련 리뷰 콘텐츠도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이전에 타 연애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출연자나, 모태솔로이면서 월간 데이트 소재로 화제를 끌었던 찰스엔터 등 많은 크리에이터들의 리뷰 영상들이 2차 콘텐츠로서 프로그램의 흥행을 확장하는데 기여
– 또한 예능을 밥 친구로 소구하는 시청자들이 많은 점을 활용해, 리뷰 영상 촬영 시 크리에이터가 먹는 음식에 PPL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등 2차 콘텐츠까지 연계한 마케팅 활용 사례도 함께 관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