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클리핑과 AI 트렌드

오늘의 뉴스클리핑과 AI 트렌드

#콘텐츠

케이팝 데몬 헌터스’ 대박 나더니…넷플릭스 ‘이것’까지 만든다

넷플릭스가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로 사업 확장을 예고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상표청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관련 상표권을 단독으로 출원했다. 현재 신규 출원으로 심사관 배정 대기 상태다.

상표 등록 세부 항목 분류에 따르면 음료 용기 등이 포함된 ‘가정용품 및 유리제품’, 코스프레 의상뿐 아니라 운동복, 수영복, 액세서리 등을 포괄하는 ‘의류제품’, 여기에 ‘장난감 및 스포츠용품 제품’ 등도 있다. 브랜드 모니터링 플랫폼 월드와이드 트레이드마크는 넷플릭스의 이런 상표 출원 제출에 “시리즈나 영화가 아닌, 완구 제품에 대한 것”이라고 차별점을 꼽으며 “스트리밍 대기업 넷플릭스의 변화하는 야망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신호”라고 해석했다.

👉 원문 보기


#경제

소비쿠폰 지급 1주차, 소상공인 매출 2% 늘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시행 첫 주부터 소상공인 매출이 전 주 대비 2%가량 증가하면서 실질적인 소비효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신용데이터(KCD)가 소상공인 사업장 37만2207곳의 카드매출자료를 분석한 결과,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된 1주차(7월 21일∼27일) 동안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전 주 대비 2.2% 늘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7% 증가했다.

특히 안경점은 전주 대비 약 56.8%나 증가해 가장 큰 평균매출 상승세를 기록했다. 뒤이어 ▷패션·의류 분야(28.4%) ▷면 요리 전문점(25.5%) ▷외국어학원(24.2%) ▷피자(23.7%) ▷초밥·롤 전문점(22.4%) ▷미용업(21.2%) ▷스포츠·레저용품(19.9%) 순으로 이어졌다. 반면 서비스업 평균 매출은 전주 대비 3% 감소했다.

👉 원문 보기



AI

#AI모델

보그 잡지속 게스 광고 ‘AI 모델’ 등장해 패션계 발칵

– 패션 잡지 보그(VOGUE)에 인공지능(AI) 모델이 등장한 게스(GUESS) 광고가 실리면서, 패션업계와 소비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 해당 광고를 제작한 AI 마케팅 회사 ‘세라핀 발로라’의 공동 창립자 발렌티나 곤잘레스와 안드레아 페트레스쿠는 논란이 과장됐다고 반박했다. 페트레스쿠는 “우리는 실제 모델도 고용하고 있다”며 “스튜디오에서 게스 의상을 착용한 모델의 모습을 촬영한 뒤, 이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생성한다”고 밝혔다.

– 게스 외에도 AI 모델을 도입하는 브랜드는 늘고 있다. 2023년 리바이스는 마케팅에 다양한 체형과 피부 톤을 반영하기 위해 AI 기반 모델 테스트를 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관련 기사 보기


#AI챗봇

애플, 챗GPT 대항마 AI 챗봇 개발…시리 대체 가능성

– 애플이 인공지능(AI) 챗봇 시장에서 뒤처진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자체 AI 팀을 구성하고 챗GPT와 경쟁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3일(현지시간) IT매체 엔가젯이 인용한 블룸버그의 마크 거먼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초 ‘답변, 지식 및 정보'(Answers, Knowledge and Information)라는 팀을 신설하고, 기존 오픈AI와의 협력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했다.

– 당초 애플은 오픈AI와 협력해 시리(Siri)에 챗GPT를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최근에는 자체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새로운 AI 팀은 웹을 탐색해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챗GPT 스타일의 검색 기능을 개발 중이며, 독립형 앱으로 출시되거나 시리, 스포트라이트, 사파리에 통합될 가능성이 있다.

👉 관련 기사 보기

뉴스클리퍼 아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