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클리핑과 소셜 트렌드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뉴스클리핑

#릴스

페이스북, 릴스 길이 최대 90초로 연장

페이스북이 숏폼 콘텐츠 릴스 길이를 최대 90초로 늘린다. 미국 IT매체 엔가젯은 3일(현지시간) 페이스북이 릴스 길이를 최대 60초에서 90초로 연장했다고 보도했다. 메타는 지난해 7월 인스타그램 릴스 길이를 90초로까지 확대한 바 있다. 최장 10분까지인 틱톡에 비하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릴스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다.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에는 노래와 클립을 동기화하는 기능이 있는데, 페이스북 릴스도 ‘그루브’라고 불리는 유사한 기능을 내놨다. 지난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릴스 재생 수는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메타는 릴스의 재공유 수는 지난 6개월 두 배 이상 늘었다고 늘린 바 있다.

👉 원문 보기


#SNS

무료 SNS로 돈 버는 시대 지났다… ‘유료화’ 카드 꺼내는 메타·트위터

트위터는 280자 분량의 짧은 트윗(글)을 올리는 소셜미디어(SNS)다. 빠르고 쉽게 글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번 올린 트윗은 수정이 불가능했다. 회사 측은 “그러한(편집) 기능은 트위터 본래 목적에 맞지 않는다”라며 기능 추가를 거부해왔다. 그러나 트위터가 최근 선보인 유료 서비스 ‘트위터 블루’에는 트윗 게시 후 30분 이내에 글을 수정하는 기능이 추가됐다.

SNS 업계가 성장을 위한 돌파구로 유료화 서비스 카드를 내밀었다.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로 돈을 벌던 기업들이 수익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여러 실험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SNS 업체들이 다양한 수익화 모델을 실험하는 배경에는 개인정보보호 강화 추세로 이용자 데이터 수집이 까다로워진 영향이 있다. 회사의 주 수입원이던 타깃광고 효과를 이전만큼 기대하기 어려워지면서 광고주가 대거 이탈하고 있기 때문이다. 

👉 원문 보기


#플랫폼

메타브, 애플 앱스토어 무료앱 인기 차트 1위

‘소프트스피어’의 인터랙티브 웹 플랫폼 ‘메타브’가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인기 차트 1위를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 메타브는 유형테스트, 온라인 방탈출, 온라인 전시, 미니게임 등 다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하거나 플레이하고, 친구에게 공유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웹 플랫폼이다.

메타브 내 ‘템플릿’은 나만의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클릭 몇 번으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최근 공개한 ▲이상형 모의고사 템플릿이 일주일만에 400만 플레이를 돌파하며 Z세대를 중심으로 큰 화제를 모아 앱 다운로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브랜드와 콜라보한 사례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MZ세대 중심으로 자발적인 확산이 이루어지는 만큼 분야를 막론하고 다양한 브랜드와 브랜디드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 원문 보기


소셜

#틱톡

[영상] 틱톡 열풍 이유있네… ‘뷰티 필터’ 효과 보니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틱톡 사용 금지령에도 틱톡의 인기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 지난 2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매체 버지는 “틱톡은 최근 뷰티 필터 ‘볼드 글래머’ 서비스를 시작했다”며 “볼드 글래머는 외모를 획기적으로 바꿔준다”고 보도했다. 

– 네티즌은 “필터는 외모를 자연스럽게 바꾼다” “볼드 글래머는 완벽하다” “다시 20대로 돌아간 느낌이다” 등의 글을 남겼다.

– 틱톡의 열풍에도 미 정부는 향후 틱톡의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틱톡이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는 판단에서다. 

👉 관련 기사 보기


#MZ세대

최근 2030대 젊은이들이 ‘인스타그램 계정’을 조용히 없애고 있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길어진 경기 침체와 고물가 여파 등으로 젊은 층 사이에서는 한 푼이라도 더 아끼려는 ‘무지출 챌린지’, ‘앱테크’, ‘짠테크’ 단어가 유행하고 있다.

– 이들 중 일부는 플렉스(Flex)와 소비 자랑 문화로 대표됐던 인스타그램 이용을 줄이거나 계정을 없애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국내에서는 ‘카페인 우울증’이라는 말이 생기기도 했다. 카페인 우울증은 국내 3대 SNS인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 SNS 피드 속 타인의 행복한 모습을 보며 상대적 박탈감과 비교 심리에 빠지게 되는 현대인의 우울한 모습을 빗댄 표현이다.

👉 관련 기사 보기

About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