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브이로그, 토크쇼··· 유튜브에서 잘되는 콘텐츠 유형 4가지의 기획 포인트

·

공유 사이트 목록
카카오톡

카카오톡

토크쇼, 페이크 다큐, 웹예능 등 볼거리가 너무나도 많은 요즘! 그렇다면 경쟁이 치열한 환경 속에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기획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핵심은 포맷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거예요.

☑️ 타깃층을 고려한 기획: 시청자의 관심사와 소비 패턴을 고려해 포맷을 최적화하면 콘텐츠 몰입도를 높이고 이탈률을 줄일 수 있어요.
☑️ 포맷별 연출 방식 적용: 같은 정보라도 웹예능과 다큐멘터리는 표현 방식이 다르므로, 포맷에 맞는 연출 기법을 적용해야 해요.
☑️ 자연스러운 메시지 전달: 브랜드 협업 시에도 콘텐츠 분위기에 맞춰 PPL을 자연스럽게 녹이는 등, 포맷별 특성을 반영한 스토리텔링이 필요해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다양한 유튜브 콘텐츠 포맷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기획 전략을 소개합니다. 함께 살펴볼까요?

🔴 리뷰 콘텐츠

출처 유튜브 오늘의 주우재 (1) 봄 신발/잡화 편 (2) 2025 패션 트렌드
출처 유튜브 오늘의 주우재
출처 유튜브 오늘의 주우재 (1) 연도별 유행 음식 (2) 성심당 빵&케이크
출처 유튜브 오늘의 주우재 ‘성심당 빵&케이크‘ 댓글 반응

이외에도 먹방 콘텐츠의 마무리에는 자신의 착장을 소개하며 패션 콘텐츠를 선호하는 구독자의 니즈도 충족시켜 줍니다. 이처럼 소식좌 캐릭터와 극 T 성격이 맞물려 먹방 콘텐츠는 매번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어요.

출처 유튜브 할명수 (1) 일본 편의점 리뷰 (2) 일본 가챠깡
출처 유튜브 할명수 ‘오사카 10끼‘ 댓글 반응
출처 유튜브 스튜디오 오와 (1) EP.0 (2) EP.8
출처 유튜브 스튜디오 오와 ‘EP.3‘ 댓글 반응
출처 유튜브 스튜디오 오와

리뷰 콘텐츠 Tip!

☑️ 출연자의 기존 캐릭터를 활용해 신뢰도를 높여요.

☑️ 솔직하고 임팩트 있는 표현을 활용해요.

☑️ 출연자의 실제 경험을 활용해 진정성을 극대화해요.

🔴 브이로그 콘텐츠

출처 유튜브 추성훈 ChooSungHoon

추성훈은 브이로그를 통해 남성미 넘치는 외관과 다르게 한국어가 서툴러서 나오는 귀여운 말투로 ‘아조씨’라는 별명을 얻었어요. 집에서는 딸 사랑이의 방을 빌려 셋방살이를 하거나 아내의 눈치를 보는 모습 등이 반전 매력으로 작용했죠.

출처 유튜브 추성훈 ChooSungHoon (1) 야노 시호 반응 (2) 집청소 서비스 PPL
출처 유튜브 걍밍경 (1) 송혜교 브이로그 1탄 (2) 송혜교 브이로그 2탄

얼마 전, 다비치 강민경의 유튜브 채널에 게재된 ‘송혜교 브이로그’가 인기 급상승 동영상에 오르며 화제를 모았죠? 사실 이 영상은 강민경의 가벼운 제안으로 송혜교가 출연한 영화 ‘검은 수녀들’을 홍보하는 콘텐츠였는데요. 기존 걍밍경의 트렌디한 브이로그 포맷을 유지해 홍보 목적이 부담스럽지 않게 전달됐어요.

출처 유튜브 걍밍경 ‘송혜교 브이로그 2탄‘ 댓글 반응

브이로그 콘텐츠 Tip!

☑️ 기존 캐릭터와 대비되는 반전 매력을 활용해 흥미를 높여요.

☑️ 하나의 서사를 완성시켜 지속적으로 시청하게 만들어요.

☑️ 홍보 콘텐츠도 기존 채널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결해요.

🔴 토크쇼 콘텐츠

출처 유튜브 TEO 테오
출처 유튜브 TEO 테오 ‘EP.63 홍경 노윤서‘ 댓글 반응

이렇듯 장도연의 지적인 면모와 유머러스한 진행은 어떤 게스트가 와도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대화를 이끌어냅니다. 진행자의 특별한 캐릭터를 내세우기보다 게스트가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거죠.

출처 인스타그램 @hyeri_0609 스토리
출처 유튜브 혜리 ‘EP.38 제니
출처 유튜브 혜리 ‘EP.38 제니‘ 댓글 반응

예를 들어, 해외 스케줄이 많은 제니에게 “보일러를 끄고 가냐”고 묻는 등 예상치 못한 질문들이 이어지며 게스트도 색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혜리는 가볍고 유쾌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팬들이 궁금해하는 포인트를 짚어가는 능숙한 진행을 선보이며 인터뷰의 재미를 더하고 있어요. 혤스클럽만의 독특한 질문이 게스트와 시청자 모두에게 흥미를 유발하는 거죠.

출처 유튜브 요정재형 ‘다비치 편
출처 유튜브 요정재형 ‘숏박스 편‘ 댓글 반응

요정식탁은 ‘집’이라는 편안한 공간과 진행자의 배려가 돋보이는 대화 스킬로 게스트에게 편안하고 친밀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정재형은 손님맞이를 위해 계절과 취향을 고려해 직접 요리를 준비하는데요. 실제로 요정식탁의 게스트를 위해 매번 3~4시간 정도 요리를 한다고 해요. 따뜻한 공간과 정성이 담긴 한 끼를 대접받은 게스트들은 감동을 받고 정재형이 콘텐츠에 얼마나 진심인지를 느끼게 되는 거죠. 이처럼 ‘집’이라는 공간이 호스트의 개성을 더욱 부각하고 안정적인 토크 분위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토크 콘텐츠 Tip!

☑️ 호스트의 개성과 스타일 역시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콘셉트에 적합한 진행자를 선정해요.

☑️ 팬 참여 요소를 활용해 시청자의 기대감을 높여요.

☑️ 토크쇼의 장소 자체가 호스트의 매력을 극대화하는 요소가 될 수 있어요.

🔴 페이크 다큐멘터리 콘텐츠

출처 유튜브 사내뷰공업 beautyfool (1) 다큐 황은정 (2) 15학번 박세은
출처 유튜브 사내뷰공업 beautyfool ‘다큐 황은정‘ 댓글 반응
출처 유튜브 SBSKPOP X INKIGAYO
출처 유튜브 가비 걸 GABEE GIRL
출처 유튜브 가비 걸 GABEE GIRL ‘EP.30

퀸가비의 차별화 포인트는 캐릭터성이 잘 드러나는 자막이에요. 넷플릭스 스타일의 자막을 차용해 퀸가비가 영어로 말할 때마다 화면 상단에 [영어로]라고 표기하는데요. 이는 영어를 구사하는 퀸가비의 할리우드 스타 콘셉트를 더욱 도드라지게 합니다.

출처 유튜브 가비 걸 GABEE GIRL ‘EP.30

또한 ‘수련회 교관 같은 목소리로’, ‘도플갱어인 효과음’, ‘인맥 알러지인 음악’ 등 말투, 효과음, 배경음악을 설명하는 자막을 사용하는데요. 이를 통해 시청자는 출연자의 행동과 맥락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또, 별다른 상황이 아닌 장면에서도 설명형 자막이 덧붙여져 예상치 못한 웃음을 유발하죠. 이처럼 페이크 다큐에서 자막은 단순한 보조 요소가 아니라, 연출과 유머를 극대화하는 핵심 장치로 활용될 수 있어요.

페이크 다큐멘터리 콘텐츠 Tip!

☑️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디테일한 연출이 중요해요.

☑️ 패러디 형식을 활용하면 친숙하면서도 신선한 재미를 줄 수 있어요.

☑️ 차별화된 자막을 활용해 페이크 다큐의 재미와 몰입도를 극대화해요.

지금까지 최근 유행하는 유튜브 콘텐츠 포맷들을 다양하게 살펴봤는데요. 시청자의 눈길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기획, 연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콘텐츠만의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우리 브랜드만의 특별한 콘텐츠를 통해 시청자에게 새로운 재미를 제공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외부 필진이 작성한 아티클입니다.

About Author